• Business

Business

M13 박테리오파지

01나노바이오소재

나노바이오소재는 넓은 표면적과 높은 반응성을 가지고 있고 원하는 특성을 발현시킬 수 있어 여러 산업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나노기술의 선구자 Eric Drexler는 미래소재가 갖춰야 할 3가지 특징으로 Self-evolving, Self-replicating, Self-assembling 을 언급했으며 나노바이오소재는 이 3가지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능성 소재입니다.

02바이러스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경계에 있는 물질로 내부 핵산과 핵산에 의해 구현되는 외부 단백질 껍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모든 물질이 완벽하게 동일한 크기를 가져 물질 준비에 이점이 있으며, 대부분의 바이러스가 특정 숙주만을 감염시키므로 고정밀 표적화가 가능한 소재입니다.
바이러스의 일종인 박테리오파지는 세균을 의미하는 단어인 박테리아(Bacteria)와 잡아먹는다를 의미하는 파지(Phage)의 합성어로 특정 대장균만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를 뜻합니다.

Zika virus
Ebola virus
Tobacco Mosaic Virus
λ Bacteriophage
T4 Bacteriophage

03M13 박테리오파지

M13 박테리오파지는 다른 박테리오파지와 달리 1:130 이상의 큰 종횡비를 가지며, 표면에 2700쌍의 펩타이드로 둘러 쌓여있어 다양한 기능성 그룹(Functional Group)을 발현시키기에 최적의 박테리오파지입니다. 이러한 특성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고 소자화에 유리한 특성을 지녀 고성능 에너지소자, 반도체소자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되고 있는 미래 신소재입니다.

T4 phage
VS

불량(유해) 우수(안전)

유해성
01 02 03 04 05
디자인 (성질)
01 02 03 04 05
구조화 (모양)
01 02 03 04 05
생산성 (양)
01 02 03 04 05
Tobacco Mosic virus
VS

불량(유해) 우수(안전)

유해성
01 02 03 04 05
디자인 (성질)
01 02 03 04 05
구조화 (모양)
01 02 03 04 05
생산성 (양)
01 02 03 04 05
M13 phage

불량(유해) 우수(안전)

유해성
01 02 03 04 05
디자인 (성질)
01 02 03 04 05
구조화 (모양)
01 02 03 04 05
생산성 (양)
01 02 03 04 05

전자코

JENLiFE는 유전자조작을 통해 M13 박테리오파지 표면에 특정 아미노산을 발현시켜 포유동물의 후각수용체와 유사한 전자코 소재를 개발했습니다.

수질 모니터링

해수 모니터링 어플

토양 모니터링

토양 모니터링 어플

악취 모니터링

악취 모니터링 어플

인체유래 호기 모니터링

인체유래 액상검체 모니터링

바이오 파운더리

바이오 파운더리 시설 확보

반도체 공정 수준의 바이오 파운더리 구축 운영 및 바이오소재 생산 시설 및 유전자조작 시설 확보

대량 배양 설비 확보

대용량 배양기, 대용량 살균기, 3차 증류수 시스템

8,000 종류 이상의 M13 파지 라이브러리 확보

M13 파지 대량 배양

※파지 CAPA : 273mg/day

항온 항습 시설 확보

온도 허용차 : ±1℃~±2℃/상대습도 허용치 : ±3%~5%

M13 파지 기반 기능성 필름

M13 파지 기반 기능성 폴리머 필름 제작

※필름 CAPA : 70 EA/day

반도체 자동화 장비 도입

온도 허용차 : ±1℃~±2℃/상대습도 허용치 : ±3%~5%

레이저 다이싱

자동화 에폭시 본딩

소자화 및 상용 소자 제작 기술

※센서 CAPA : 10 EA/hour

연구용 소재

기능성 바이오 소재 유전자 조작 기술

반도체 공정에 활용가능한 바이오 소재 기반 2차원 및 3차원 구조 제작 기술

Smectic
Smectic
Chiral smectic C

기능성 바이오 필름 제작기술